|
“아리랑”의 의미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아리랑 고개를 넘어간다” ; 경기도 아리랑
“아리아리랑 쓰리쓰리랑(또는 사투리로 서리서리랑) 아라리가 났네/아리랑고개로
날 넘겨주소” ; 밀양 아리랑, 진도 아리랑, 정선 아리랑) 등 에서 나오는 “아리랑”,
“쓰리랑”,“아라리”, “아리랑고개”의 뜻을 알아본다.
첫째 “아리”의 뜻 : 1
“아리”가 고대 한국어에서 “고운”, ”곱다”로 쓰인 흔적을 현대 한국어
(“아리다운”=아리+다운)에서 찾아 볼수 있고, - 몽골에서 “아리”는 아직도
“고운” “곱다”의 뜻으로 사용되고 있으므로 첫째 “아리”의 뜻은 “고운”을 뜻한다.
둘째 “아리”의 뜻 : 2
현대 한국어에서 “아리다”(마음이)의 동사는 사랑에 빠져 상사병에
걸렸을 때나 마음의 상처를 받았을 때의 표현이다.
이것이 형용사가 되면 “아리”는 상사병이 나도록 “사무치게 그리움”을
표현하는 뜻이 되어 이때의 “아리“는 ”(사무치게)그리운”의 뜻이 된다.
셋째 “랑”의 뜻 :
“랑”은 한자로 삼국시대에는 “낭(郞 )“자를 써서 젊은 남녀를 모두 표현 했다.
통일 신라시대 이후 조선시대에는 남녀를 구분하여 남자는 주로 ”郞“자, 여자는
”? “자로 표시했다. - 발음은 모두 “랑”이며, 뜻은 “임”이다. 이는 신라향가(鄕歌)의
죽지랑(竹旨郞), 기파랑(耆婆郞) 등이 좋은 예이다.
넷째“아라리”의 뜻 :
“아라리”는 근 현대에 뜻을 몰라 잃어버린 말인데, 이는 ‘상사병’의 고대 한국어 라고
판단된다.현대 한국어에서는 상사병을 나타내는 ‘가슴아리’ (가슴앓이)에서 그 흔적이
어렴풋이 보인다.
‘쓰리다’를 강조할 때 '쓰라리다‘ 라고 강조사를 넣는 것처럼 ’가슴아리‘는 ’가슴아라리‘
’아라리‘와같다. ‘삼국유사’ 등에는 상사병에 걸린 사랑 이야기가 몇 개 나오는데,
상사병에 해당하는 순수 고대 한국어를 한자가 수입된 뒤 언젠가 그만 잃어버린 것이다.
민요 ‘아리랑’에 들어있는 ‘아라리’가 바로 ‘상사병’의 순수 한국어 인 것이다.
다섯째“쓰리랑”의 뜻 :
“쓰리랑”은 “아리랑” 둘째의 뜻과 동의어 또는 유사어 이다.
마음이 “쓰리다”는 마음이 “아리다”와 유사어 이다. 즉 “쓰리랑”은
마음이 아리고 “쓰리도록 그리운 임“을 뜻한다.
“아리랑”의 가사를 현대 한국어로 리듬을 접어두고 번역하면 ;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 곱고 그리운 임/곱고 그리운 임/ 사무치게
그리워 상사병이 났네.)“의 뜻이 된다.
“아리랑 고개로 넘어간다” : ‘아리랑(이) 고개를 넘어간다’ 라는 표현을 운율에 맞추고자
“아리랑” 다음의 토씨 ‘이’를 생략 한 것으로서, 번역
하면 ‘곱고 그리운 임이 고개를 넘어간다’ 는 뜻이다.
한국 전통사회에서 마을 공동체의 활동범위를 차단 하는 것은 “고개” 였다.
고개를 넘어가는 것은 다시 만나기 어려운 공간으로서 ‘이별“ 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아리랑이 고개를 넘어 간다”는 “곱고 그리운 임과의 이별“을 뜻하는 것이다.
위에서의 의미를 유추해 볼때 “아리랑”이 뜻도 모른 채(알았더라도)
일천수백 년을 내려온 것은 이 고대어 속에 현대어로는 치환할 수 없는
절묘한 뜻과 멋이 담겨 있기 때문이 아닌가? 한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