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 정취

사라져가는 우리 부엌 풍경들 | 전통 건축

채운산 2007. 10. 13. 21:53
사라져가는 우리 부엌 풍경들 | 전통 건축 2007-10-09 12:58
http://blog.paran.com/grigouri/22641436
한국의 부엌: 저만치 밀려난 부엌 풍경들
 
양양 송천리 김순덕 씨와 탁영재 씨가 부엌 앞에 안반을 놓고 떡메를 치고 있다.
 
그 옛날 우리네 어머니께서는 새벽에 일어나 아궁이에 불을 지피는 것으로 하루를 시작하였다. 사랑방에 곁달린 쇠죽솥에는 겻섬에서 퍼온 겻가루와 콩깍지가 섞인 여물을 넣고, 반지르르 기름기 도는 부엌 가마솥에는 통감자 몇 알 넣어 쌀보리를 안친 뒤 불을 지폈다. 부뚜막에는 언제나 시커멓게 그을음이 앉은 통성냥 한 통이 있었고, 부엌 한 켠에는 미리 쟁여 놓은 나뭇짐과 갈비(솔가리)가 쌓여 있었다. 먼저 갈비에 불을 붙이고, 솔가지를 분질러 넣으면 화르락 불길이 번져 아궁이를 환하게 비추었다. 이어 잘 마른 나무를 뚝뚝 분질러 아궁이에 쳐넣으면, 금세 불길은 방고래를 타고 올랐다.
 
삼척 황조리에서 만난 차현자 씨가 부엌을 들여다보고 있다(위). 고성 왕곡마을의 김애자 씨가 두부를 만들기 위해 끓는 콩물을 젓고 있다(아래).
 
불길이 번지기 시작하면 바빠지는 건 부지깽이였다. 부지깽이는 잘 타지 않아야 하므로 생나무 줄기를 잘라 만들지만, 아무리 생나무라 해도 자꾸 불씨를 헤치다보면 금세 끄트머리가 타서 짧아지게 마련이었다. 그러다 너무 짧아지면 아궁이에 던져지는 게 부지깽이의 신세였다. 색색 쇠죽솥에서 뜨거운 김이 새어나오고, 가마솥에서도 구수한 밥 냄새가 솔솔 풍겨 나오면, 어머니의 손길은 더욱 바빠졌다. 쇠죽은 퍼다가 외양간 여물통에 붓고, 아궁이 불씨는 부삽으로 꺼내 화로에 퍼담았다. 이글이글한 화롯불에는 지글지글 된장찌개를 끓여내고, 식구수 대로 밥까지 뚝딱 퍼놓고서야 어머니의 아침 부엌데기 노릇은 얼추 끝이 났다.
 
장작불을 피워 가마솥에 밥을 짓는 풍경은 이제 보기 드문 풍경이 되었다(위). 홍천 율전리 문암골 귀틀집 부엌의 가마솥과 흙부뚜막(아래).
 
산간의 너와집이나 굴피집 부엌에는 화티를 두는 경우도 많았다. ‘화티’란 아궁이 옆에 또 다른 작은 아궁이를 만들어 불씨를 보관해 두는 곳인데, 옛날에는 한겨울이면 이 곳에 늘 불씨를 모아두어 겨울이 끝날 때까지 꺼지지 않도록 했다. 화티의 불씨를 꺼뜨리면 집안의 복덕과 기운이 꺼지고, 해가 생긴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본래 부엌은 음식을 장만하고 난방을 하는 공간이지만, 곡물을 저장하는 창고이기도 했으며, 부지깽이 탁탁, 시집살이의 설움을 삭이는 공간이기도 했다. 대개 아궁이가 있는 곳에는 부뚜막이 달리게 마련인데, 여기에는 언제나 크고 작은 솥들이 내걸렸다.
 
삼척 무건리에서 만난 화티의 불씨. 화티는 아궁이 옆에 따로 불씨를 보관하는 아궁이를 말한다(위). 아궁이 불씨를 모아 그 위에 석쇠를 올려놓고 짚을 깐 다음 생선을 굽는 짚불구이. 강원도 해안지방에서는 옛날에 짚불구이로 생선을 구워먹었다(아래).
 
과거에는 솥이 얼마나 반들반들 윤기가 나느냐에 따라 아낙네의 바지런함이 평가되기도 했으므로, 아낙네들은 자주자주 기름 수건으로 소댕(솥뚜껑)을 닦아주어야 했다. 살림살이 가운데서도 솥은 가장 중요한 품목이었으니, 살림집을 옮길 때도 가장 먼저 떼어내고, 가장 먼저 거는 것이 솥단지였다. 그런 만큼 부엌 지킴이인 조왕신을 모시는 조왕중발도 언제나 솥이 걸린 부뚜막 위에 두었다. 예부터 부엌은 여인네의 공간이었으며, 불과 물을 다루고 음식을 만들어내는 중요한 공간이었다. 우리 민속에는 이 중요한 공간을 조왕신(조왕 할매)이 관장한다고 보았다.
 
구례 문수리 귀틀집 부엌에서 볼 수 있는 조왕중발(위). 산청 중산리 덕치마을 박을순 할머니가 조왕중발에 정화수를 올리고 있다(아래).
 
부엌에서 음식도 만들고 아궁이에 불도 지펴야 했으므로 조왕신은 불의 신, 또는 재물의 신으로 통했다. 옛날에는 아낙네가 아침에 일어나면 가장 먼저 깨끗한 우물물을 길어 조왕중발에 올렸다. 최근까지 조왕신을 모셔온 몇몇 사람들에 따르면 요즘에는 초하루나 보름, 또는 특별한 날에 한번씩 정화수를 떠놓기도 한단다. 그러나 일부 지역에서는 부엌의 벽에 한지를 붙이거나 명태를 걸어 조왕의 신체를 꾸미기도 한다. 재미있는 사실은 이 부엌의 조왕신이 해마다 음력 동짓달 스무닷새날(스무사흗날이라고도 함)이면 하늘로 올라가 옥황상제에게 1년 동안에 일어났던 일을 종알종알 고자질하고, 섣달 그믐날(설날 아침이라고도 함) 다시 제자리로 돌아온다고 한다.
 
정선 단임골 심상복 씨댁 부엌에 걸린 성주(위). 삼척 동활리 산중 빈집 부엌에 적힌 글귀. 용과 호랑이를 한자로 적어 액을 물리치고자 했다(아래). 
 
하여 옛날에는 조왕신이 올라가기 전날 밤 아궁이에 끈적끈적한 개엿을 발라 놓았다. 이렇게 하면 조왕신의 입이 달라붙어 설령 옥황상제에게 가더라도 아무 말도 전하지 못하니 액을 면할 수 있다는 것이다. 사실 부엌이란 공간이 여인네의 공간이란 점에서 조왕신도 여신으로 보았다. 조왕을 조왕 할매 또는 조왕 각시라 부르는 것도 그 때문이다. 부엌은 아궁이에 불을 때 그 온기를 고래로 보내 구들과 방을 데우는 곳이므로 집안에서 가장 낮은 곳에 위치한다. 과거 우리네 어머니들은 집안의 가장 낮은 곳에서 의식을 치르듯 살림에서 가장 중요한 불을 다루고, 음식을 만들었던 것이다. 보통 부엌에는 세 개쯤의 아궁이가 있고, 아궁이마다 가마솥, 중솥, 옹솥을 크기에 따라 차례로 내걸었다.
 
통영 두미도의 어떤 집에서는 아직도 이런 기름병(촛병이 되기도 한다)을 볼 수가 있다(위). 삼척 대이리 굴피집 부엌 지붕에 걸린 온갖 부엌 세간들(아래).
 
그러나 아궁이가 있는 곳에 모두 솥을 걸고 부뚜막을 두는 것은 아니었다. 간혹 사랑방이나 별채 같은 곳에는 마루 밑이나 봉당에 군불 아궁이만 두는 경우도 있었다. 이것을 함실 아궁이라 불렀다. 한뎃부엌이라는 것도 있다. 잔치나 명절 때 날이 더운 여름철에는 마당이나 뒤란에 임시로 아궁이를 만들고 솥을 걸어 음식을 했는데, 이것을 한뎃부엌이라 했다. 부엌은 여인네의 공간이었던만큼 조리와 바가지, 도마와 같은 기본적인 조리기구에서부터 살림에 필요한 무수한 세간을 두는 창고이기도 했다. 예부터 세간 중에 가장 중요시한 것은 부엌 세간이었고, 부엌 세간은 남에게 빌리지도 빌려주지도 않았다.
 
송광사 요사채(부엌) 뒤란의 세간들.
 
떡메와 안반, 절구, 떡살과 다식판, 국수분틀, 맷돌과 풀매, 밀판과 홍두깨, 시루, 용수(술 거를 때 쓰는 도구), 확독 등은 음식을 만들거나 음식 재료를 이기고 찧던 도구이고, 함지박과 이남박(골이 진 함지박), 자배기, 소래기, 보시기(작은 사발), 뚝배기, 바가지, 뒤웅박, 물동이, 물지게 등은 음식이나 물을 담거나 나르던 도구이며, 똬리, 맷방석, 메주틀, 석쇠, 시루밑, 체, 풀무, 삼발이, 부젓가락, 고무레, 채독(싸릿가지 등으로 만든 뒤주) 등도 부엌에서 흔히 사용했던 도구들이다. 그러나 이런 세간들은 살림과 부엌의 변화와 함께 빠르게 우리 주변에서 자취를 감추고 있다. 아울러 옛날 아궁이와 부뚜막의 정서 또한 저만치 밀려난 풍경이 되고 말았다. 주거 양식의 변화가 아궁이와 부뚜막을 밀어내고 서양의 ‘주방’을 들어앉힌 것이다.
 
  = 글/사진: 이용한 http://blog.daum.net/binkond
 
영주 무섬리에서 만난 이정호 할머니가 부엌문을 열고 뒤란으로 나가고 있다.
 
태그

정취어린 우리의 의식주 옛적 생...목록보기 | 사라져가는 우리 초가와 초분
스크랩하기 메일 인쇄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