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약 |
쌍떡잎식물 앵초목 자금우과의 상록 소관목. |
|
학명 |
|
Ardisia crenata |
분류 |
|
자금우과 |
분포지역 |
|
한국(홍도·제주)·일본·타이완·중국·인도 |
서식장소 |
|
섬 골짜기나 숲의 그늘 |
크기 |
|
높이 약
1m | | |
 |
↑ 백량금 / 자금우과 상록 소관목.
그늘에서 자란다. | |
| | |
본문 |
섬 골짜기나 숲의 그늘에서 자란다. 높이 약 1m이다.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형이며 길이 7∼12cm, 나비
2∼4cm이다. 짙은 초록빛으로서 윤이 나고 가장자리의 둔한 톱니 사이에는 선모(腺毛)가 있다. 잎자루는 길이 5∼10mm이다.
꽃은 양성화로서 6∼8월에 피는데, 흰 바탕에 검은 점이 있으며 가지와 줄기 끝에 산형꽃차례로 달린다. 꽃받침은 5갈래로 갈라지며 그 조각은 달걀 모양이다. 화관도 5갈래로 갈라지며 지름 약
8mm이고 검은 점이 있다. 열매는 핵과로서 둥글고 9월에 붉게 익으며 다음해 새꽃이 필 때까지 달린다. 습기가 충분할 때는 제자리에서 싹이
트기도 한다.
높이 약 2m, 잎 길이 약 12cm이고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는 것을 왕백량금(var. toquetii)이라고 한다.
관상용으로 심는다. 한국(홍도·제주도)·일본·타이완·중국·인도에 분포한다.
|
|
이미지 |
목 명 |
앵초목 |
한 글 |
백량금 |
과 명 |
자금우과 |
한 자 |
百兩金, 萬兩金. |
속 명 |
|
향 명 |
백리금,진주산 |
구 분 |
|
학 명 |
Ardisia crenata Sims |
일 어 |
|
영 문 |
Coral
Ardisia |
원산지 |
한국 |
분 포 |
▶일본, 중국 및 인도에도 분포한다. ▶제주도의 표고 700m 이하,거문도,홍도등에
자생한다. |
형 태 |
상록활엽관목, 수형: 원개형 |
크 기 |
높이 1m정도로 자란다. |
잎 |
잎은 호생하고 길이 7~12cm, 폭 2~4cm로서 타원형 또는 피침형이며 점첨두이고 끝이 둔하며 좁은
예저이고 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뒷면은 연한 녹색이다. 잎 가장자리에는 파상의 톱니 사이의 선모는 박테리아에 의해 형성된 것이며 엽병은 길이
5-10mm이다. |
꽃 |
꽃은 양성화이고 백색이며 지름 8㎜로서 6월에 피는데 화서는 가지 또는 줄기 끝에 산형 또는 복산형으로
달리고 끝이 수레바퀴모양으로 갈라지며 열편은 난형 첨두로서 흑색점이 있다. 꽃받침잎은 난형 첨두이고 수술대는 거의
없다. |
열 매 |
핵과는 지름 1㎝로서 둥글고 9월에 적색으로 익으며 이듬해 6월까지 달려 있고 조건이 좋으면 달린 채로 싹이
튼다. |
줄 기 |
높이가 1m에 달하고 대개 원줄기가 하나이지만 갈라지는 것도 있으며 윗부분에서 가지를
낸다. |
뿌 리 |
지하의 굵은 뿌리는 3~5개가 모여 덩이뿌리 상태를
이룬다. |
그늘진 상록수림 하부에 자금우 등과 혼재하며 성질이 강건하여 어느
곳에서나 재배가 가능한 식물이다. 그러나 내한성과 내공해성이 약하므로 중부지방의 노지재배나 남부지방, 도심지에서는 재배가 어렵다. 내조성과
내음성은 강하여 바닷가의 나무밑에서도 잘 자라고 번성한다. |
광선 |
중생,음생 |
내한성 |
약함 |
토양 |
보통 |
수분 |
보통습윤 |
▶종자번식만 가능하다. 번식은 가을에 성숙한 종자를 채취하여 과육을
제거한 후 아토닉 2,000배 액에 4-5일간 침적하였다가 파종하면 발아가 촉진된다. |
재배작형 |
파종기 |
2월,3월 |
이식기 |
4월,9월,10월 |
결실기 |
9월 |
삽목기 |
6월,7월,11월 |
▶남부지방에서는 교목의 하부식재용으로, 중부지방에서는 실내조경용수로
식재하거나 화분에 심어 즐길 만한 전통적인 분재수목이라 할 수 있다. ▶뿌리는 朱砂根(주사근), 잎은 朱砂根葉(주사근엽)이라 하며
약용한다. ⑴朱砂根(주사근) ①늦은 가을에 뿌리를 채취하여 깨끗이 씻어서 햇볕에 말린다. ②약효 : 淸熱(청열), 해독,
散瘀(산어), 止痛(지통)의 효능이 있다. 上感(상감), 편도선염, 急性咽喉炎(급성인후염), 白喉(백후), 丹毒(단독), 淋巴節炎(임파절염),
勞傷吐血(노상토혈), 心胃氣痛(심위기통), 류머티즘에 의한 骨痛(골통), 타박상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9-15g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丸劑(환제), 散劑(산제), 술에 담가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붙인다. ⑵朱砂根葉(주사근엽) ①성분 :
Phenol, amino acid, 糖類(당류), saponin이 함유되었다. ②약효 : 活血(활혈), 行瘀(행어)의 효능이 있다.
咳血(해혈), 無名腫毒(무명종독), 타박상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신선한 것 15g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술과 꿀에 조합해서 塗布(도포)하거나 술에 짓찧어 가열해서 傷口(상구)에
塗布(도포)한다. |
자생지 보호 및 자생지외 보존을 실시한다. 대량으로 인공증식하여
경제수종으로 널리 이용한다. |
▶왕백량금(var. taquetii T.Lee): 원줄기가 높이 2m
내외이고 잎의 길이가 12㎝로서 파상의 톱니가 있으며 제주도에서 자란다. |
빨갛게 익은 매혹적인 열매는 8-9개월간 나무에 매달려 있어 관상가치가
있고,주름진 푸른잎은 사철 아름답다. |
◀◀ 산림병해충정보검색
▶▶ |
식물명 |
|
산림병해충명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