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룹명/조류

[스크랩] 꾀꼬리 [Chinese oriole,Oriolus chinensis]

채운산 2007. 12. 6. 14:35

                                       못찾겠다 꾀꼬리의 모정

 

 

 

23일 무더운 여름 날씨에도 불구하고 강원도 춘천의 한적한 농촌마을 숲 속에 꾀꼬리가 새끼(왼쪽)에게 먹이를 주며 분주한 하루를 보내고 있다. (춘천=연합뉴스)

 

꾀꼬리 [Chinese oriole,Oriolus chinensis] 


참새목 까마귀과의 새.
 
학명  Oriolus chinensis
분류  참새목 까마귀과
생활방식  암수 함께 생활
크기  몸길이 25cm
색  노란색
생식  난생(1회에 4개)
서식장소  산지 침엽수림·활엽수림
분포지역  한국·중국(남부)·인도차이나반도·미얀마·말레이반도


본문
한자어로 황작(黃雀) 또는 황조(黃鳥)라 한다. 꾀꼬리과 조류는 아프리카와 아시아 열대에 28종이 알려져 있고 유라시아에는 2종만이 사는데, 그 중 꾀꼬리만이 여름새로 한국에 찾아온다. 몸길이 25cm이다. 몸은 노란색이고 검정색 눈선이 뒷머리까지 둘러 있다. 날개와 꼬리는 검정색이고 깃가장자리는 노란색이다. 암컷은 윗면이 연한 녹색을 띠고 가슴에 세로무늬가 있다. 부리는 붉은색이다. 어린 새끼는 암컷을 닮았으나 뒷머리의 검은 띠가 연한 색이고 배에 세로무늬가 뚜렷하다.

봄·여름에는 매미·메뚜기·잠자리·거미나 곤충의 유충을 잡아먹고, 가을에는 버찌·산딸기·산머루 등의 나무열매를 먹는다. 산지 침엽수림이나 활엽수림의 나뭇가지에 둥지를 틀고 5~7월에 4개의 얼룩진 알을 낳는다. 한국에는 4월 하순~5월 초순에 찾아와 시가지 공원을 비롯하여 야산, 깊은 산에 이르기까지 도처에서 번식한다. 중국(남부)·인도차이나반도·미얀마·말레이반도 등지에서 겨울을 난다.

《삼국사기》에 암수가 사이좋게 노니는 것을 읊은 〈황조가〉가 전하며, 고려가요 〈동동〉에서 4월의 전경을 노래한 대목에 ‘곳고리 새’라 하여 꾀꼬리가 등장한다. 모습이 아름다운 데다가 울음소리가 맑고 다양해서 예로부터 시나 그림의 소재로 애용되었다. 관상용으로 기르기도 한다.

출처 : 사오정의 쉼터
글쓴이 : 사오정 원글보기
메모 :